금곡동 (성남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곡동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북동부에 위치한 법정동이다. '쇠골'이라는 지명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금을 채굴했다는 설이 있으나, 현지 주민들은 이를 증언하지 않는다. 1970년 광주군 낙생면에서 시작하여, 성남시 승격 및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분당구 금곡동으로 자리 잡았다. 주요 시설로는 청솔초등학교, 청솔중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등의 교육 시설과 아파트 단지들이 있다. 경부고속도로의 서울 요금소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남시의 행정동 - 분당동
분당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분점리의 '분' 자와 당우리의 '당' 자를 따서 만들어진 지명에서 유래한 지역이다. - 성남시의 행정동 - 판교동
판교동은 조선 시대 영남대로의 길목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며, 판교신도시 개발 이후 IT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했고, 다양한 교육기관과 공공기관이 위치한 분당구의 법정동이다. - 성남시의 법정동 - 분당동
분당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분점리의 '분' 자와 당우리의 '당' 자를 따서 만들어진 지명에서 유래한 지역이다. - 성남시의 법정동 - 은행동 (성남시)
은행동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1975년 단대동에서 분리되었으며 동명은 은행나무가 있던 '은행정'에서 유래했고, 여러 교육기관과 남한산성, 은행근린공원, 성남시 식물원 등의 주요 시설이 있다. - 성남시의 행정 구역 - 분당동
분당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분점리의 '분' 자와 당우리의 '당' 자를 따서 만들어진 지명에서 유래한 지역이다. - 성남시의 행정 구역 - 분당구
분당구는 1989년 분당신도시 개발로 설치된 성남시 남부의 일반구로, 분점리와 당우동의 이름을 따왔으며, 과거 광주군 돌마면과 낙생면 지역이 성남시에 편입된 후 중원구에서 분구되어 분당선, 신분당선, 경강선과 함께 네이버, KT 본사 등 여러 기업 및 공공기관이 위치한다.
금곡동 (성남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개요 | |
이름 | 금곡동 |
한자 표기 | 金谷洞 |
영어 표기 | Geumgok-dong |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
동주민센터 주소 | 13615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171번길 14(금곡동) |
금곡동 행정복지센터 홈페이지 | 금곡동 행정복지센터 |
통계 | |
면적 | 5.37 ㎢ |
세대 | 12,305 |
세대 조사 기준 | 2022년 1월 |
인구 | 27,860 명 |
인구 조사 기준 | 2022년 1월 |
통 | 60 |
반 | 346 |
법정동 | |
법정동 | 금곡동, 궁내동 |
2. 지명 유래
금곡동의 '금곡'은 '쇠골'이라는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쇠골마을은 옛날 이곳에서 금을 채굴했기 때문에 쇠골=금곡이라 불렀다고 전해지나, 현지 촌로들은 "그런 이야기를 들은 바 없다"고 한다. 전국적으로 쇠골=금곡이라 불리는 마을은 수십 곳에 달한다.[3]
2. 1. 쇠골의 의미
금곡동의 '금곡'은 '쇠골'이라는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쇠골마을의 유래에 대해서는 옛날 이곳에서 금을 채굴했기 때문에 쇠골=금곡이라 불렀다고 전해지나, 현지 촌로들의 증언에 따르면 "그런 이야기를 들은 바 없다"고 한다. 전국적으로 쇠골=금곡이라 불리는 마을은 수십 곳에 달하지만, '쇠'는 지역에 따라 소(牛), 새(동쪽: 예, 샛바람), 새(新), 사이(間), 수렁 등 여러 가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쇠'는 '새'와 사투리에서 혼용되면서 '새=해'로 사용되어 '새=일(日)'을 뜻하는 경우도 있다. 닷새(5日), 엿새(6日) 등이 그 예이다. 안동권씨 참의공파 족보에는 '쇠골'을 '쇠곡', '쇄곡'이라 표기하였는데, 이는 '쇠골'의 한자식 차음 표기로 보인다. 자연부락인 '샛골=쇠골'이거나, 골짜기 사이에 위치한 '사이골=새골'로 불리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3]2. 2. 명칭 변천
금곡동의 명칭은 '쇠골'이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쇠골마을은 과거 이곳에서 금을 채굴했기 때문에 쇠골=금곡으로 불렸다고 전해지지만, 현지 주민들은 "그런 이야기를 들은 바 없다"고 증언한다. 전국적으로 쇠골=금곡이라 불리는 마을은 수십 곳에 이르지만, '쇠'는 지역에 따라 소(牛), 새(동쪽: 예, 샛바람), 새(新), 사이(間), 수렁 등 다양한 뜻으로 사용된다. 또한 '쇠'는 '새'와 함께 사투리에서 혼용되어 '새=해', 즉 '일(日)'을 뜻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닷새(5일), 엿새(6일)와 같이 사용된다. 안동권씨 참의공파 족보에는 '쇠골'을 '쇠곡', '쇄곡'으로 표기했는데, 이는 '쇠골'의 한자식 차음 표기로 보인다. 즉, 자연부락인 '샛골=쇠골'이거나, 골짜기 사이에 위치한 '사이골=새골'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3]날짜 | 내용 |
---|---|
1970년 3월 6일 | 광주군 낙생면사무소 설치 |
1971년 9월 13일 | 경기도 성남출장소 낙생지소 설치 |
1973년 7월 1일 | 성남출장소가 성남시로 승격되면서 금곡동으로 개칭 |
1988년 7월 1일 | 성남시 중원구 금곡동 사무소 개소 (성남시 중원구에 편입) |
1991년 5월 27일 | 분당출장소의 구 승격으로 분당구 금곡동 설치 |
2005년 3월 21일 | 분당구 금곡1동 분동 개소 |
2008년 9월 22일 | 분당구 금곡동 명칭 변경 |
금곡동에는 청솔초등학교, 청솔중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3. 법정동
4. 교육
4. 1. 학교 목록
5. 교통
금곡동에는 경부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서울 요금소가 있다.[4]
5. 1. 도로
서울 요금소는 경부고속도로의 요금소이다.[4]6. 주거 시설
금곡동에는 여러 아파트 단지가 있다.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청솔마을 5단지 공무원 | ㈜건영종합건설 | 공무원연금공단 | 1994년 11월 | ||
청솔마을 6단지 주공 | 대한주택공사 | 1994년 8월 | 영구임대 | ||
청솔마을 9단지 주공 | 현대산업개발 | 대한주택공사 | 1995년 9월 | ||
분당 두산위브 트레지움 | 두산건설 | 두산건설 | 분당구 정자일로 55 | 2003년 9월 | |
하우스토리 분당 | 남광토건 | ㈜한원랜드 | 분당구 정자일로 15 | 2004년 10월 |
6. 1. 아파트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청솔마을 5단지 공무원 | ㈜건영종합건설 | 공무원연금공단 | 1994년 11월 | ||
청솔마을 6단지 주공 | 대한주택공사 | 1994년 8월 | 영구임대 | ||
청솔마을 9단지 주공 | 현대산업개발 | 대한주택공사 | 1995년 9월 | ||
분당 두산위브 트레지움 | 두산건설 | 두산건설 | 분당구 정자일로 55 | 2003년 9월 | |
하우스토리 분당 | 남광토건 | ㈜한원랜드 | 분당구 정자일로 15 | 2004년 10월 |
참조
[1]
웹사이트
우리동역사
https://www.bundang-[...]
2024-11-13
[2]
웹사이트
2021 SEONGNAM STATISTICAL YEARBOOK
https://www.seongnam[...]
2024-11-13
[3]
웹사이트
동명 유래
http://www.bundang-g[...]
2017-09-04
[4]
문서
서울 요금소 위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